본문 바로가기
Python

[Python] 슬라이싱

by JJH0100 2022. 12. 17.
728x90
반응형

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문자의 몇번째열만 떼와서 사용하고 싶을 떄가 있다.

파이썬은 이 방법이 상당히 간편한 편.

jumin = "990101-1234567"

이런 주민번호가 있다고 치자.

성별의 정보를 알 수 있는 뒷줄 첫번째 글자를 가져오고 싶을 때는 이렇게 쓴다.

print("성별 : " + jumin[7])

8번째 글자인데 왜 7이어야 하는가? 첫번째 자리를 0번부터 세기 때문이다.

 

그럼 생년 월일을 각각 출력하고 싶을 때는?

print("년 : " + jumin[0:2])
print("월 : " + jumin[2:4])
print("일 : " + jumin[4:6])

jumin[0:2] 이런식으로 작성하면  0번부터 2번의 앞자리까지 출력한다. 

 

그럼 몇번째부터 앞에나 뒤에 문자열을 모두 출력하고 싶을 때는?

print("생년월일 : " + jumin[:6])
print("뒤 7자리 : " + jumin[7:])

 

하지만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뒤에서부터 몇글자만 가지고 오고 싶어질 때도 있다.

print("뒤 7자리(뒤에부터) : " + jumin[-7:])

 

 

jumin = "990101-1234567"

print("성별 : " + jumin[7])
print("년 : " + jumin[0:2])
print("월 : " + jumin[2:4])
print("일 : " + jumin[4:6])

print("생년월일 : " + jumin[:6])
print("뒤 7자리 : " + jumin[7:])
print("뒤 7자리(뒤에부터) : " + jumin[-7:])

728x90
반응형
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Python] 문자열 포맷  (0) 2022.12.17
[Python] 문자열처리함수 : index와 find의 차이  (0) 2022.12.17
[Python] random 함수  (0) 2022.12.17
[Python] 숫자처리 함수  (0) 2022.12.17
[Python] 연산자 : 승, 나머지, 몫  (0) 2022.12.17

댓글